HTTP 프로토콜의 특성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쿠키 또는 세션을 사용한다.
HTTP 프로토콜 환경은 connectionless, stateless 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매번 확인해야 한다. 이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쿠키와 세션을 사용한다.
connectionless (비연결 지향)
stateless (상태 정보 유지 안 함)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을 할 때 통신이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않고 한 번 통신이 되면 끊어진다.
따라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계속 인증을 해줘야 한다. 하지만 그것은 매우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다.
또한 웹페이지의 로딩을 느리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런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방법이 바로 쿠키와 세션이다.
정리하면, 클라이언트와 정보 유지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쿠키와 세션이다.
HTTP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어떠한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이다. HTTP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PC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정보를 참조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다.
쿠키의 사용 예
세션은 쿠키를 기반하고 있지만, 사용자 정보 파일을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서버 측에서 관리한다.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하며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서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인증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이 가능하다.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두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에 좋지만,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된다. 즉 동접자 수가 많은 웹 사이트인 경우 서버에 과부하를 주게 되므로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된다.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보내면, 해당 서버의 엔진이 클라이언트에게 유일한 ID를 부여하는 데 이것이 세션 ID이다.
세션 사용 예
세션은 사용자의 수만큼 서버 메모리를 차지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런 문제들을 보완한 토큰 기반의 인증방식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Redis 개념 및 특징, 메모리 정책 (6) | 2024.09.01 |
---|---|
로드밸런싱 / 서버 부하 분산 (Server Load Balancing) (93) | 2023.09.28 |
정규식(Regular Expression) (1) | 2022.08.24 |
프로그래밍 사칙연산 부동소수점 오차 (0.1 + 1.1 != 1.2) (0) | 2022.08.16 |
MSA(MicroService Architecture) (0) | 2022.07.20 |
댓글 영역